비스타 이전에 만들어진 많은 프로그램들에서 F1 펑션키를 누르면 도움말이 표시되는데
이데 나타나는 도움말들중 많은 도움말들이 *.hlp 파일로 만들어졌다. 그런데 비스타에선
이 *.hlp 도움말 형식을 지원하지 않기로 해서 기존에 이 형식의 도움말을 사용하는
각종 프로그램들에선 F1 펑션키를 누르면 도움말 대신에 다음과 같은 메세지가 나타난다.

비스타를 몇주째 사용했는데 아직까지 특별히 비스타에서 안돌아가는 프로그램을 보진
못해서 별 문제없이 사용하고 있었는데 이 메세지를 보구선 좀 당황했다. 그럼 도움말은
어떻게 보란 말이지... MS 에선 나름대로 도움말의 몇몇 스크립트가 보안상에 문제가
될 수 있어서 지원을 중단한거 같은데 그럼 단순하게 보여주는것 정도는 지원해 줘야
하는거 아닌가 싶은디... 참 피곤하게 생겼다.

암튼 빠른시일 안에 패치나 관련 유틸등이 나왔으면 하는 바램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비스타를 설치하고 나면 기보적으로 어드민 계정은 비활성화 되어있다.
계정관리에서 손쉽게 수정할 수 있을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라 "로컬 보안 정책"에서
수정을 할 수 있었다.

1. 제어판에서 시스템 및 유지 관리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관리도구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로컬 보안정책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계정 : Administrator 계정 상태"가 사용 안 함으로 되어 있다. 더블 클릭
사용자 삽입 이미지

5. 사용을 체크해주고 확인 하면 어드민 계정이 활성화 된다. 다음은 어드민의 비밀설정이 남았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6. 어드민의 비밀번호를 설정하기 위해서 다시 제어판 홈에서 사용자 계정 추가 또는 제거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7. Administrator 계정에 등록된걸 확인 할수 있다. Administrator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8. 암호 만들기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9. 새 암호를 넣어주고 암호 만들기를 클릭하면 마무리된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까지 완료 했으면 다음번 로그인부터 어드민 계정으로 로그인이 가능하다.
각종 게임 및 특성을 타는 프로그램 사용시엔 어드민 계정이 필요하다고 하는데 이것 저것 귀찮다면
기본 계정을 어드민 계정으로 사용하는게 나을듯 하다.
프로그램을 새로 깔거나 실행 할때마다 팝업창이 여간 거슬리는게 아니다.
보안이 강화 되었다는 점에선 좋지만 어느정도 윈도우 사용 수준이 되는 유저라면 좀 짜증이
난다. 이리저리 자료를 찾다가 본 기능을 간단하게 제거하는 법을 찾았는데 의외로 간단한데
글로만 나와있어서 한참을 찾아 다녔다. 제어판이 한층더 복잡해진것 같다.

1. 제어판의 클래식 보기로 가면 좀더 빨리 찾을수도 있겠지만 기본 환경에 익숙해질겸
기본 환경을에서 찾아보기로 했다. 잴 먼져 "사용자 계정 및 가족 보호를 클릭하자.
사용자 삽입 이미지

2. 사용자 계정 클릭
사용자 삽입 이미지

3. 사용자 계정 컨트롤 사용/사용 안 함 을 선택
사용자 삽입 이미지

4. 처음엔 아래 옵션이 켜져있는데 이 옵션의 체크를 삭제하고 확인버튼을 눌러주면 다음부턴
팝업들이 사라진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